믿음의 흙 - 박목월(朴木月)
제비는
진흙을 이겨
집을 짓는다.
진흙이 무엇을
뜻하는 것임을 모르고
알을 까기 위하여
그것을 이겨
집을 짓는
맹목적인 슬기
진흙이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누가 아랴,
그것을 이겨
눈에 바르고
보냄을 받은
실로암의 연못에서
씻음으로 장님은
눈을 뜬다.
심령의
눈 먼 자여
영혼의 장님이여
안다는 그것으로
눈이 멀고
보인다는 그것으로
보지 못하는
오만과 아집 속에서
진흙을 이겨
눈에 바르게 하라.
진흙이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도 모르고
제비는 둥우리를 마련하여
알을 까는 믿음.
진흙을 이겨
눈에 바르고
보냄을 받은 실로암의
연못에서
눈을 씻자.
------------------------------------------------------------------------
박목월(朴木月) / 1916∼1978
본명 : 박영종(朴泳鍾)
경북 경주에서 출생. 1935년에 대구 계성 중학교를 졸업하였다. 한때 잡지 <아동> <동화> <시문학>등을 편집, 간행했으며, 홍이대 조교수, 한국 시인 협회장, 한양대 교수등을 지냈다. 1933년에 <문장>에 [길처럼] [그것은 연륜이다] [산그늘]등을 발표하였으며, 그 이후 민요성, 향토성이 짙은 서정시를 발표하여 특유한 전통적 시풍을 형성하였다. 1946년에 제 3시집 <청담>, 1968년에 제 4시집 <경상도의 가랑잎>등을 비롯하여 <사력질> <무순>등을 간행하였다. 그는 짧고 단조로운 시형을 생명으로 하여 한국적 정서를 노래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자유 문학상, 5월 문예상, 서울시 문화상 등을 수상하였고, 국민 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대표작으로는 [나그네] [사슴] [청노루] [윤사월]등을 꼽을 수 있다. 저서에는 <문학의 기술> <실용 문장 대백과>등이 있고, 수필집 <밤에 쓴 인생론>과 동시집 <박영종 동시집> <산새알 물새알>등이 있다.
경북 경주에서 출생. 1935년에 대구 계성 중학교를 졸업하였다. 한때 잡지 <아동> <동화> <시문학>등을 편집, 간행했으며, 홍이대 조교수, 한국 시인 협회장, 한양대 교수등을 지냈다. 1933년에 <문장>에 [길처럼] [그것은 연륜이다] [산그늘]등을 발표하였으며, 그 이후 민요성, 향토성이 짙은 서정시를 발표하여 특유한 전통적 시풍을 형성하였다. 1946년에 제 3시집 <청담>, 1968년에 제 4시집 <경상도의 가랑잎>등을 비롯하여 <사력질> <무순>등을 간행하였다. 그는 짧고 단조로운 시형을 생명으로 하여 한국적 정서를 노래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자유 문학상, 5월 문예상, 서울시 문화상 등을 수상하였고, 국민 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대표작으로는 [나그네] [사슴] [청노루] [윤사월]등을 꼽을 수 있다. 저서에는 <문학의 기술> <실용 문장 대백과>등이 있고, 수필집 <밤에 쓴 인생론>과 동시집 <박영종 동시집> <산새알 물새알>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