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신 (春信) - 유치환(柳致環)
꽃등인양 창 앞에 한그루 피어오른
살구꽃 연분홍 그늘 가지 새로
작은 멧새 하나 찾아와 무심히 놀다 가나니.
적막한 겨우내 들녘 끝 어디에서
작은 깃 얽고 다리 오그리고 지내다가
이 보오얀 봄길을 찾아 문안하여 나왔느뇨.
앉았다 떠난 아름다운 그 자리에 여운 남아
뉘도 모를 한 때를 아쉽게도 한들거리나니
꽃가지 그늘에서 그늘로 이어진 끝없이 작은 길이여.
------------------------------------------------------------------------
유치환(柳致環) / 1908∼1967
호: 청마(靑馬). 시인. 경남 충무에서 출생. 일본의 도요야마 중학에서 4년 동안 공부한 후 귀국하여 1927년에 동래 고보를 졸업하고, 연희 전문 문과에 입학했으나 1년 만에 중퇴하였다. 1931년에 <문예 월간>지에 시 [정적]을 발표하여 문단에 데뷔, 1937년에 통영 협성 상업 학교의 교사가 된 것을 계기로 이후 교육계에 종사하였다. 1939년에 첫 시집<청마 시초>를 간행하였는데, 여기에는 허무와 낭만의 절규라 할 수 있는 [깃발]등 초기의 시 53편이 실려 있다. 1940년에 일제의 압제를 피하여 북만주로 가서 농장을 관리하였는데, 그 무렵의 작품이 [내 차라리 생기지 않았던들] [산] [절도]등이다. 광복 후에 대구 여고, 경남 여상 교장, 청년 문학가 협회장 등을 지냈고, 1954년에는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자유 문학상, 예술원 공로상 등을 수상하였다.
시집으로 <생명의 서> <울릉도> 청령 일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등이 있고, 수필집에 <예루살렘의 닭>등이 있다.
시집으로 <생명의 서> <울릉도> 청령 일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등이 있고, 수필집에 <예루살렘의 닭>등이 있다.